IT

하나도 어렵지 않은 E2E 테스트 용어 간략하게 설명해드릴게요!

valenstory 2025. 3. 26. 08:05

웹이나 앱을 개발하다 보면 여러 테스트 용어들이 등장하는데, 그중에서도 'E2E 테스트' 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죠. 처음 들으면 뭔가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E2E 테스트는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과 꽤 비슷해요. 새로 산 전자제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이것저것 눌러보는 것처럼, 개발한 서비스가 사용자 관점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말하는건데요. 오늘은 이 E2E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왜 많은 개발 팀들이 이 테스트 방식에 주목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E2E 테스트의 개념과 중요성

E2E는 'End-to-End' 의 약자로, 말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테스트한다는 의미예요. 사용자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테스트하는 방식이죠. 예를 들어, 쇼핑몰 사이트라면 회원가입부터 상품 검색, 장바구니 담기, 결제, 주문 확인까지의 전체 흐름을 테스트하는 거예요. 마치 비밀 손님이 되어 매장을 둘러보듯, 실제 사용자 경험을 그대로 검증하는 셈이죠.

E2E 테스트가 중요한 이유는 개별 기능이 아닌 '시스템 전체' 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백엔드, 프론트엔드, 데이터베이스, API 등 모든 요소가 함께 어우러져 제대로 작동하는지 볼 수 있죠. 단위 테스트에서는 모든 부품이 개별적으로 정상이어도, 조립했을 때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잖아요? E2E 테스트는 바로 그런 '통합적 문제' 를 발견하는 데 특히 효과적입니다.

E2E 테스트 vs 다른 테스트 방식들

테스트 세계에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는데, E2E 테스트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볼게요. 가장 흔히 비교되는 건 '단위 테스트(Unit Testing)' 와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ing)' 예요. 단위 테스트는 마치 자동차의 각 부품이 정상인지 확인하는 것과 비슷한데 엔진, 바퀴, 핸들 등 개별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집중적으로 보죠.

통합 테스트는 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여러 부품이 함께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요. 엔진과 변속기가 함께 잘 동작하는지, 핸들과 바퀴가 연결되어 방향 전환이 잘 되는지 같은 것들이죠. 하지만 여전히 자동차 전체를 실제 도로에서 운전해보는 것과는 차이가 있어요.

E2E 테스트는 완성된 자동차를 실제 도로에서 운전해보는 것과 같습니다. 시동 걸기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주차까지 전체 과정을 사용자 관점에서 테스트하죠. 이런 포괄적인 접근은 시간과 자원이 더 많이 필요하지만, 실제 사용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가장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E2E 테스트 구현 방법과 도구들

그렇다면 E2E 테스트는 어떻게 구현할까요? 예전에는 QA 인력이 직접 시나리오를 따라가며 수동으로 테스트했지만, 요즘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개발자나 QA 엔지니어가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하면, 도구가 자동으로 브라우저나 앱을 조작하며 테스트를 수행하죠.

가장 인기 있는 E2E 테스트 도구로는 Selenium, Playwright, Cypress, Appium 등이 있어요. Selenium은 오랜 역사를 가진 강력한 도구로, 다양한 브라우저와 언어를 지원하죠. 최근에는 Playwright와 Cypress 같은 현대적인 도구들이 개발자 경험을 크게 개선하며 인기를 얻고 있어요. 이런 도구들은 테스트 코드 작성을 쉽게 만들고, 디버깅을 돕는 강력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모바일 앱의 경우 Appium이 많이 사용되는데, iOS와 Android 앱 모두를 테스트할 수 있어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는 BrowserStack, Sauce Labs 같은 플랫폼도 있어서, 다양한 기기와 운영체제에서 손쉽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답니다.

균형 잡힌 테스트 전략의 중요성

E2E 테스트는 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전체를 검증하는 강력한 방법이지만, 모든 테스트를 E2E로만 진행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어요. 테스트 피라미드 개념에 따르면, 단위 테스트를 기반으로 하고, 그 위에 통합 테스트, 그리고 꼭대기에 E2E 테스트를 배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해요. 각 테스트 방식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균형 있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죠.

결국 E2E 테스트는 사용자가 실제로 경험할 여정을 미리 검증함으로써, 출시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개발 과정이 복잡해지고 배포 주기가 빨라지는 요즘, E2E 테스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어요. 여러분의 프로젝트에서도 E2E 테스트를 적절히 활용해 더 안정적이고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보세요!

반응형